무아 방유룡 영성연구소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보존 활동과 종교 유산화 과정

- 대한제국 의친왕비 유물 중심으로

 

 

초 록

이 논문은 대한제국 의친왕비 김덕수가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 기증한 황실 유물이 단순한 역사 유산을 넘어 신앙적 의미를 지닌 종교유산으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종교문화유산 연구가 주로 제도적 보존과 물리적 관리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본 논문은 가톨릭 여성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신앙적 실천과 해석을 통해 유물이 어떻게 의미화되고 공동체의 정체성 안에 통합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의친왕비 유물의 수집과 보존, 전시가 단순한 박물관 활동을 넘어 수도회의 고유한 사명, 즉 순교자 현양과 민족문화 계승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공식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유물 기증의 경위를 추적하기 위해, 의친왕비의 생애 말기를 함께한 정환희 여사의 구술자료를 핵심 1차 사료로 채택하고, 수녀회 내부의 공문, 회고록, 박물관 기록 및 신문 기사 등 다양한 보조자료를 통해 교차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물의 기증 동기, 수용 과정, 전시 실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문화유산이 수도공동체 내부의 신앙적 기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의친왕비의 유물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내에서 단순한 역사유물의 차원을 넘어, 신앙과 공동체 정신의 상징으로 의미화되었으며, 전시와 교육을 통해 종교문화유산으로 공공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은 수도회의 신앙적 해석과 실천을 통해 유산의 종교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한국사회 내천주교 여성 수도회의 문화적 기여와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문화유산의 형성과 전환 과정에 있어 종교기관의 능동적 역할과 해석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여성 수도공동체가 문화유산 보존의 주체로서 수행할 수 있는 신앙적,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 차

.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생애와 기증 유물의 의미

1. 대한제국 황실의 변화 

2.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생애와 신앙생활

3.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기증 유물 현황과 의미

.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인식과 보존 활동

1.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설립과 문화유산 인식

2.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보존 활동

3. 구술자료로 본 의친왕비 유물의 종교 유산화 과정 

. 결론 

참고문헌 

부록(정환희 여사 구술자료 전사본)

Abstract

 

표 목차

<1> 대한제국 황실 가계도

<2>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소장 대한제국 유물 현황 

<3> 의친왕비 기증 유물 현황 

<4> 언론매체에 보도된 한국순교복자수녀회가 개최한 전시 

<5> 조선 왕실 유물을 활용한 특별전시와 도록

<6>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전시 도록 현황

<7> 의친왕비 가계도

<8>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2012년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언론보도

 

그림 목차

<그림 1> 1955.08.21. <경향신문> 의친왕 장례 

<그림 2> 1964.01.15. <경향신문> 의친왕비 장례

<그림 3> 의왕영왕책봉의궤

<그림 4>추봉책봉의궤』 

<그림 5> 의왕 원유관 

<그림 6> 의왕 원유관의 금장식, 화판, 술 

<그림 7> 의왕 단령

<그림 8> 익선관 

 

<그림 9> 의친왕비 조바위

<그림 10> 어여머리

<그림 11> 새앙머리 

<그림 12> 의친왕비의 지팡이 

<그림 13> 세례 사진 속 

<그림 14> 1967년 전시  

 

<그림 15>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창설

<그림 16> 복자회 창설 이념창설자 방유룡 사제 수기본

<그림 17> 195410<한국가톨릭 사료 전시회>입구 전경과 전시실

<그림 18> 197612월 기념관 부지조성

<그림 19> 기념관 투시도(김성곤 교수 작

<그림 20> 기념관 개관 당신 전시실 

<그림 21> 1982923<조선일보> 7면 

<그림 22> 1988825<조선일보> 7, 의왕원유관 외 다수 전시대여

<그림 23> 의친왕비 세례기념 사진

<그림 24> 이해경여사와김종순교수(2009년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방문

<그림 25> 2013년 김종옥 자택에서 정환희 여사 인터뷰하는 모습 

<그림 26> 의친왕비의 80세 생일날 모인 친척들 

<그림 27> 19573월 제1회 외부회 착복식

<그림 28>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총원에 의친왕비 방문 

<그림 29> 의친왕의 6녀 이희자 여사 방문

<그림 30> 1955818<경향신문> 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자료 무아 방유룡 영성 연구소는...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5.27 998
41 자료 <학술논문> 창설 신부님 영성연구와 동양사상-최기섭 신부 1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8.04 2280
40 자료 <학술논문> 동방 그리스도교 영성 안에서 바라본 무아영성-곽승룡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8.13 1839
39 자료 <학술논문>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과 무아 방 신부님의 영성에 관한 비교-정제천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8.20 2021
38 자료 <학술논문> 무아 방유룡 신부의 영가 안에 나타난 양심불에 관한 고찰-김기화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9.01 2179
37 자료 <학술논문> 이천년대의 민족복음화를 위한 영성으로서의 면형무아-이유남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1.15 1702
36 자료 <학술논문> 무아 방유룡 신부 영성과 보편 교회 수도회 영성-전헌호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2.07 1935
35 자료 <학술논문> 내적 평화, 무아 방유룡 신부와 성녀 예수의 데레사-박현찬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2.24 1659
34 자료 <학술논문> '無'의 개념에서 본 無我 방유룡 신부의 사상과 선교에의 적용-김병수 신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3.07 1617
33 자료 <학술논문>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설립을 위한 방유룡 신부와 세 협력자의 역할-국춘심 수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3.17 2027
32 자료 <학술논문> 방유룡 신부 생애와 가계에 대한 재고찰-한미라 교수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3.29 1385
31 자료 <학술논문> 한국순교복자수녀회 공동 설립자 윤병현 수녀의 순교자 현양에 대한 고찰-유은희 수녀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4.09 2695
30 자료 <연재> 신학1. 우리의 마지막 성소는..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3.28 1659
29 자료 <연재> 신학1. 우리가 찾는 것..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4.04 1424
28 자료 <연재> 신학1. 이 마음을..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4.13 1679
27 자료 <연재> 신학1. 이 시대의 그리스도를 1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4.19 1345
26 자료 <연재> 신학1. 하느님 좋아하시는.. 1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4.27 1330
25 자료 <자료> Recorder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5.09 1424
24 자료 <연재> 신학2. 말을 건네다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7.18 1445
23 자료 <다시 읽는 창설자> 창설 신부님, 그 사명의식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5.02 1491
22 자료 <다시 읽는 창설자> 순교적 형제애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5.10 18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