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 방유룡 영성연구소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보존 활동과 종교 유산화 과정

- 대한제국 의친왕비 유물 중심으로

 

 

초 록

이 논문은 대한제국 의친왕비 김덕수가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 기증한 황실 유물이 단순한 역사 유산을 넘어 신앙적 의미를 지닌 종교유산으로 어떻게 전환되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종교문화유산 연구가 주로 제도적 보존과 물리적 관리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본 논문은 가톨릭 여성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신앙적 실천과 해석을 통해 유물이 어떻게 의미화되고 공동체의 정체성 안에 통합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의친왕비 유물의 수집과 보존, 전시가 단순한 박물관 활동을 넘어 수도회의 고유한 사명, 즉 순교자 현양과 민족문화 계승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공식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유물 기증의 경위를 추적하기 위해, 의친왕비의 생애 말기를 함께한 정환희 여사의 구술자료를 핵심 1차 사료로 채택하고, 수녀회 내부의 공문, 회고록, 박물관 기록 및 신문 기사 등 다양한 보조자료를 통해 교차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물의 기증 동기, 수용 과정, 전시 실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문화유산이 수도공동체 내부의 신앙적 기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의친왕비의 유물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내에서 단순한 역사유물의 차원을 넘어, 신앙과 공동체 정신의 상징으로 의미화되었으며, 전시와 교육을 통해 종교문화유산으로 공공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은 수도회의 신앙적 해석과 실천을 통해 유산의 종교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한국사회 내천주교 여성 수도회의 문화적 기여와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문화유산의 형성과 전환 과정에 있어 종교기관의 능동적 역할과 해석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여성 수도공동체가 문화유산 보존의 주체로서 수행할 수 있는 신앙적,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 차

.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생애와 기증 유물의 의미

1. 대한제국 황실의 변화 

2.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생애와 신앙생활

3. 대한제국 의친왕비의 기증 유물 현황과 의미

.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인식과 보존 활동

1.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설립과 문화유산 인식

2.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보존 활동

3. 구술자료로 본 의친왕비 유물의 종교 유산화 과정 

. 결론 

참고문헌 

부록(정환희 여사 구술자료 전사본)

Abstract

 

표 목차

<1> 대한제국 황실 가계도

<2>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소장 대한제국 유물 현황 

<3> 의친왕비 기증 유물 현황 

<4> 언론매체에 보도된 한국순교복자수녀회가 개최한 전시 

<5> 조선 왕실 유물을 활용한 특별전시와 도록

<6>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전시 도록 현황

<7> 의친왕비 가계도

<8>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2012년 개관 30주년 기념 특별전언론보도

 

그림 목차

<그림 1> 1955.08.21. <경향신문> 의친왕 장례 

<그림 2> 1964.01.15. <경향신문> 의친왕비 장례

<그림 3> 의왕영왕책봉의궤

<그림 4>추봉책봉의궤』 

<그림 5> 의왕 원유관 

<그림 6> 의왕 원유관의 금장식, 화판, 술 

<그림 7> 의왕 단령

<그림 8> 익선관 

 

<그림 9> 의친왕비 조바위

<그림 10> 어여머리

<그림 11> 새앙머리 

<그림 12> 의친왕비의 지팡이 

<그림 13> 세례 사진 속 

<그림 14> 1967년 전시  

 

<그림 15>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창설

<그림 16> 복자회 창설 이념창설자 방유룡 사제 수기본

<그림 17> 195410<한국가톨릭 사료 전시회>입구 전경과 전시실

<그림 18> 197612월 기념관 부지조성

<그림 19> 기념관 투시도(김성곤 교수 작

<그림 20> 기념관 개관 당신 전시실 

<그림 21> 1982923<조선일보> 7면 

<그림 22> 1988825<조선일보> 7, 의왕원유관 외 다수 전시대여

<그림 23> 의친왕비 세례기념 사진

<그림 24> 이해경여사와김종순교수(2009년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방문

<그림 25> 2013년 김종옥 자택에서 정환희 여사 인터뷰하는 모습 

<그림 26> 의친왕비의 80세 생일날 모인 친척들 

<그림 27> 19573월 제1회 외부회 착복식

<그림 28>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총원에 의친왕비 방문 

<그림 29> 의친왕의 6녀 이희자 여사 방문

<그림 30> 1955818<경향신문> 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자료 무아 방유룡 영성 연구소는...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5.27 998
» 자료 <학술논문>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문화유산 보존활동과 종교유산화 과정 - 대한 제국 의친왕비 유물 중심으로- 유상순수녀 (석사학위논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8.07 32
40 무아의 향기 <옥잠화> 피정 뉴스(방신부는 죽고 없어)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7.10 174
39 무아의 향기 <옥잠화> 축시(방신부님)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6.16 591
38 자료 <신문기사> 한국적 靈性 계발에 한평생 - 가톨릭신문 1986년 2월 16일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6.10 745
37 무아의 향기 2025 복자의 밤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5.30 628
36 무아의 향기 <옥잠화> 우리 신부님 1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5.05.27 640
35 무아의 향기 별이 뜨다! 1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1.23 1332
34 무아의 향기 평신도 제자, 방 신부님을 기억하다 - 김규영 교수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10.08 987
33 무아의 향기 평신도 제자, 방 신부님을기억하다 - 박희진 시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9.22 1198
32 무아의 향기 평신도 제자, 방 신부님을 기억하다 - 성찬경 시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9.15 1356
31 무아의 향기 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7.20 980
30 무아의 향기 가는 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4.19 1337
29 무아의 향기 숨!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0.03.31 1359
28 자료 <영상 자료> 을해박해 순교자들과 형신애긍 방유룡영성연구소 2023.06.01 1826
27 자료 <신간안내> 신비생활의 비결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2.06.02 1333
26 자료 <영상자료> 복자와의 만남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2.06.02 1219
25 자료 <학술논문> 점(點)의 영성을 통한 예술실천과 표현연구-구계숙 수녀(박사학위논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7.28 1493
24 자료 <학술논문> 김대건, 최양업 신부와 함께 순교의 길을 걷다-유은희 수녀(의정부 교구 심포지엄 발제 논문)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7.18 1553
23 자료 <자료> 윤형중 신부님 42주기_6월15일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6.14 1432
22 자료 <다시 읽는 창설자> 무아 방 신부님의 영성 안에서의 성령과 마리아 2 file 방유룡영성연구소 2021.06.03 13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top